환경 기술_Engineering/개론_Introduction

[수자원 오염] 미량오염물질, Micropollutants

쉬운공부 2023. 7. 10. 13:21
728x90
반응형

미량오염물질

정의

- 수중에 미량으로 존재함(ng/L~μg/L 단위, ppm의 1000000 ~ 1000분의 1)에도 불구하고, 인체에 치명적인 독성을 가진 오염 물질.

 

특징

- 현재 법적 수질 기준 항목으로 설정되지 않음.


미량오염물질은 수중, 토양, 강, 퇴적물 혹은 공기 중에 있는 화학물질 중에서, 매우 작은 농도로 검출되고 있으나, 인간의 건강과 생태계에 잠재적 혹은 실제로 치명적인 위험을 가할 수 있는 물질임.

 

- 실제 서울의 정수장에서도 검출이 보고 되고 있음 : 법적 수질 기준 항목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므로, 처리 대상이 아님.

 

- 인위적으로 유입되기도 하며, 자연적으로 발생하기도 함.

 

- 새로운 수질 기준 항목으로서 설정되고 있으며, 각국에서의 다양한 논의가 진행 중에 있음.

서울 정수장에서 검출되는 미량오염물질

- 인위적으로 유입 되는 미량오염물질 : 주로 화장품, 의약품 (Pharmaceuticals and Personal Care Products, PPCPs), 농약, 환경호르몬류 화학물질 (Endocrine disrupting compounds, EDCs)

 

-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미량오염물질 : 주로 녹조에서부터 발생되는 물질
  :
Geosmin (1,2,7,7-tetramethyl-2-norborneol), 2-MIB (2-methyliso borneol) - 맛, 냄새 유발 물질
  : Microcystin-LR, Cyanotoxins, Anatoxin-a - 독성 물질

 

- PPCPs 및 EDCs 등의 출현빈도와 농도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고, 기존 수처리공정으로 처리하더라도, 처리효율이 낮음.

 

 

(1) 국외 오염 사례

- 미국의 경우, 2013년 21개 주에서 147개의 유해성 조류가 하천, 호수, 저수지에서 검출됨.

- 오대호 주변에서는 많은 양의 유해성 조류가 검출되어, 플로리다 주에서는 녹조에 의해서 많은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하는 등 사회적인 이슈가 되었음,

- 매년 미국뿐만 아니라 중국 양쯔강, 호주 본다이 비치 등 전 세계적으로 녹조에 대한 피해가 보고되고 있음.

 

(2) 국내 오염 사례

- 2012년 8월 6일 기준으로 Geosmin의 농도는 서울시 6개 정수장의 유입수에서 50~194 ppt, 팔당댐 292 ppt로 기준치를 초과하였고, 최대 1,640 ppt를 기록하였음.

- 북한강 수계에서는 590 ppt까지 증가하였음. 

- 2013년 8월에는 낙동강 수계 및 북한강 수계에서 조류의 과대 번식으로 인하여 녹조현상이 발생하였음.

- 2012년의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Geosmin과 2-MIB는 한국과 일본의 먹는 물 수질 감시 항목으로 지정되었고, 제한 농도는 20 ppt 미만으로 하였음.

 


미량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적용할 수 있는 처리 기술의 종류는 자외선, 초음파, 오존, 유사펜톤반응 등이 있음.

 

처리 기술에 관한 포스팅은 다음에 추가적으로 진행하고자 합니다.

감사합니다.

 
728x90
반응형